목차
전기차·수소차 구매 시 국고보조금 외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지자체별로 제공되는 보조금이다. 지역별 예산, 조건, 접수 일정이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라면 거주지 지자체의 정책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전기차 또는 수소차를 구매할 때 정부(환경부, 산업부)에서 지급하는 국고보조금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추가로 지급하는 지방보조금이 있다. 이 지방보조금은 같은 차량이라도 소비자의 거주지에 따라 금액과 조건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각각 최대 200만 원, 40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며, 일부 시·군·구는 별도로 충전기 설치 지원까지 포함한다. 하지만 반대로, 예산이 적거나 보급 목표가 조기에 달성된 지역은 조기 마감 또는 감액 지급이 발생하기도 한다.
1. 지자체 공고는 각 시·군·구청 홈페이지에 게시
환경부에서 무공해차 보급사업 계획을 발표하면, 이를 바탕으로 각 지자체는 자체 예산을 확정하고 세부 공고문을 작성한다. 보통 1월 말부터 2월 초 사이에 지역별 게시판에 공고되며, 신청은 대부분 선착순으로 이루어진다.
2. 차량 등록 전 신청이 원칙
지방보조금 역시 차량이 등록되기 전 사전 신청이 필요하다. 사전 접수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등록되면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3. 지역별 조건 상이
서울시는 무공해차 우선순위제 적용, 제주도는 도내 거주 기간 요건, 전북은 전기 승합차에 대한 특별 가산 지급 등 다양한 조건이 존재한다. 반드시 자신이 거주 중인 지자체의 세부 기준을 확인해야 한다.
4.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지방보조금은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조기에 신청이 몰리면 빠르면 1~2주 내에 접수가 종료된다. 따라서 사전계약과 동시에 지자체 신청 일정을 미리 파악하고 빠르게 접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자체 보조금은 국고보조금과 더불어 실구매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며, 소비자가 받을 수 있는 최종 혜택에 큰 차이를 만든다. 같은 차종을 구매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100만~300만 원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하며, 이를 놓치면 사실상 손해다.
특히 신청 절차는 온라인 또는 서면 접수, 별도 시스템(예: 무공해차 통합포털) 사용 여부 등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 전기차 구매에서 지자체 보조금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 전체 구매 전략의 중심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