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기차와 수소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매년 초 발표되는 보조금 공고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은 금액, 지급 조건, 적용 차종 등이 매년 달라지며, 예산 조기 소진 시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친환경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한 2025년, 소비자들이 전기차 또는 수소차를 구매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보조금 공고'다. 보조금은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매년 초에 발표하는 '무공해차 보급사업 종합 계획'에 따라 책정되며, 각 지자체는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세부 공고를 순차적으로 게시한다.
국고보조금은 차량의 가격, 에너지 효율, 주행거리, 충전 성능 등을 기준으로 차등 지급되며, 수소차는 별도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지원된다. 특히 2025년부터는 전비 효율을 강화 반영하고, 고가 차량에 대한 지원 상한선을 더욱 엄격히 조정하였다.
올해 보조금 공고에서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고보조금 최대 지원액은 전기차 기준 680만 원, 수소차 기준 2,250만 원으로 유지되었으며, 차량 가격이 5천만 원을 넘을 경우 감액 또는 지급 제외된다.
둘째, 전기차 효율 기준이 강화되었다. 전비(kWh/km)가 일정 기준 이상인 차량만 최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저효율 차량은 일부 감산된다. 이는 고전력 소비 차량에 대한 형평성 조정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셋째, 보조금 신청은 반드시 '출고 전 사전 신청'이 원칙이며, 계약일자와 상관없이 보조금 신청일 기준으로 예산이 배정된다. 예를 들어 계약을 먼저 했더라도 신청을 늦게 하면 예산을 못 받을 수 있다.
넷째, 수소차는 구매와 동시에 충전소 인프라 확보 여부도 평가에 포함된다. 일부 지역은 충전소가 부족해 수소차 보급이 제한적이므로, 지자체별로 설치 계획과 연계한 별도 평가 지침이 존재한다.
보조금은 단순히 가격 할인 수단이 아닌, 정부 정책에 따라 매년 변화하는 '정책형 지원금'이다. 따라서 차량을 먼저 고르고 보조금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금 정책을 이해한 후 조건에 맞는 차량을 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2025년은 전기차 보급의 전환점이 되는 해로, 보조금 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빠르게 계약하고 사전 신청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략이며, 자신이 거주하는 지자체의 홈페이지에서 지역 보조금 공고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서울, 경기, 부산 등은 신청 시작 수일 만에 예산이 소진되는 경우가 많아, 정보 수집과 타이밍이 곧 혜택으로 이어진다.
결국, 전기차와 수소차 구매에서 보조금 공고는 단순한 행정 정보가 아니라 '구매 성공률'을 좌우하는 핵심 열쇠다.